정보가 우주를 움직인다: IG-RUEQFT 이론이 바꾸는 실재의 개념
Zenodo DOI: https://doi.org/10.5281/zenodo.15308124
1. 우주는 정보로 짜여 있는가?
우리가 알고 있는 세상은 입자와 힘, 에너지와 시공간으로 구성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양자역학의 등장 이후, 이 세계를 설명하는 데 ‘정보’라는 개념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입자들이 서로 얽혀 있다는 사실, 즉 “양자 얽힘(entanglement)”은
단순히 신기한 현상이 아니라 세상의 구조를 이루는 가장 본질적인 실마리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낳았습니다.
바로 이 얽힘과 정보의 흐름이
질량, 중력, 감쇠율, 심지어는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까지 설명할 수 있다는
혁신적인 이론이 등장했습니다.
그 이름은 IG-RUEQFT (Information–Gauge extension of the Renormalizable Unified Entanglement Entropy QFT) ,
즉 정보 게이지 확장형 재규격화 얽힘-엔트로피 통합 양자장 이론입니다.
2. IG-RUEQFT 이론 요약: 하나의 정보장이 모든 것을 설명한다
이 이론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보는 공간과 시간 축을 따라 흐른다.
시간 방향 정보 흐름(λₜ)과 공간 방향 흐름(λₓ)이 완전히 같지 않으면,
그 차이(∆η)가 생긴다. - 그 미세한 정보 흐름의 비대칭성이 바로 ‘질량’과 ‘감쇠율’을 만들어낸다.
입자가 빨리 사라지거나 오래 존재하는 이유는,
그 주위에 흐르는 정보의 플럭스 차이에 있다. - ‘이 정보의 흐름을 동적으로 기술하는 새로운 장(field)’이 바로 Λμ (람다 뮤) 라는 “정보 게이지장(informational gauge field)”이다.
- Λμ는 매우 가벼운 질량(mΛ ≈ 10⁻²⁵ ~ 10⁻³³ eV)을 가진 벡터장으로,
우주의 모든 시공간에서 엔트로피 흐름의 변화를 기록하고 교란시키는 역할을 한다. - 이 Λμ 하나로
- 암흑에너지(공간 전체에 걸친 얇은 정보 플럭스)
- 퍼지 다크매터(암흑물질, 은하 중심의 플럭스 응축)
- CMB 편광 회전(우주 배경 빛의 회전)
까지를 하나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3. 철학적 의미: 실재는 물질이 아니라 정보다
이 이론이 갖는 철학적 충격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
우리가 ‘존재한다’고 믿는 물질과 힘, 질량과 에너지는
사실상 정보가 흐르며 얽히는 패턴에서 만들어지는 파동, 흔적일 뿐이라는 것이죠.
즉,
우주의 실재란, 고정된 물체들이 아니라 끊임없이 흐르고 얽히는 정보 그 자체입니다.
이렇게 되면 물질은 더 이상 기본 요소가 아니고,
“정보적 관계(informational relation)”가 진짜 ‘존재의 본질’이 됩니다.
이건 단지 물리학의 새로운 모델이 아니라,
“실재(reality)란 무엇인가?”에 대한 전혀 다른 철학적 대답입니다.
4. 과학사적 의미: 코페르니쿠스 이후의 또 하나의 전환
IG-RUEQFT는 과학사적으로 코페르니쿠스 혁명 이후의 또 다른 패러다임 전환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 코페르니쿠스가 “지구가 중심이 아니다”라고 말했을 때,
인간은 우주의 중심에서 끌려 내려왔습니다. - 아인슈타인은 “중력은 힘이 아니라 시공간의 구조”라고 말하면서,
힘의 개념을 완전히 재정의했습니다. - 이제 IG-RUEQFT는 말합니다.
“우주를 지탱하는 건 에너지가 아니라 정보의 흐름이다.”
이제 우리는 ‘물질’ 중심에서 ‘정보’ 중심의 세계로
완전히 인식의 전환을 겪고 있습니다.
이것은 물리학을 넘어서,
인공지능, 생명과학, 철학, 의식 연구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진짜 ‘정보 패러다임 시대’의 도래를 알리는 신호탄일지도 모릅니다.
5. 결론: 우리는 정보로 연결된 존재다
Λμ라는 정보 게이지장이 우리 몸과 별, 빛과 암흑물질, 공간의 구조를 모두 설명할 수 있다면, 우리는 이제 더 이상 고립된 물질적 존재가 아닙니다.
우리는 정보로 연결되고,
정보로 만들어지고,
정보 속에서 변화하며,
정보와 함께 존재하는 우주의 한 조각입니다.
그리고 IG-RUEQFT는,
그 정보적 우주를 과학적으로 묘사하는 최초의 언어일지 모릅니다.


✨ 추천 도서 및 참고문헌
- Lee, J. H. (2025). Information-Gauge Extensions of RUEQFT: Cosmological Signatures and Ultra-Light Vector Bosons. Zenodo. https://doi.org/10.5281/zenodo.15308124
- LiteBIRD, CMB-S4 프로젝트
- ‘Information is Physical’ — Rolf Landau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