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G-RUEQFT의 관점에서 정보 흐름과 중력의 통일 가설

IG-RUEQFT(Information Gauge-invariant Renormalizable Unified Entanglement–Entropy Quantum Field Theory)의 관점에서 정보 흐름과 중력의 통일 가설을 소개하고, 우주의 역사 속에서 각 힘이 어떻게 분리되었는지를 시간 순서대로 정리해봅니다.


🔷 1. IG-RUEQFT 관점: 정보 흐름과 중력의 통일 가설

📌 핵심 개념

IG-RUEQFT에서는 다음을 기본 가정합니다:

  • 중력은 ‘기본력’이 아니라 정보 흐름에서 유도된 효과이다.
  • 즉, 중력장은 양자 얽힘 구조의 정보 보존 조건(=엔트로피 흐름 보존) 으로부터 emergent 된다.
  • 이 정보 흐름은 gauge 대칭 하에서 보존되며, Sinv (게이지-불변 엔트로피 연산자) 와 연관된다.

🧠 수식적 배경 요약

  1. 게이지-불변 엔트로피 연산자 Sinv=−Tr(ρ log⁡ ρ) → 정보량이자 곡률장의 근원
  2. 정보 흐름 전류 (보존 조건)μJSμ=0, JSμ=∂μSinv
  3. 중력장의 비정상성 = 정보 흐름의 왜곡 Rμν−1/2Rgμν+Λgμν=8πGN Tμνinfo
  4. 여기서 Tμνinfo는 정보 흐름에 의한 유도 텐서.
    즉, ‘시공간의 곡률은 정보 흐름을 ‘보존하기 위한 계량화된 응답”

🌌 해석

중력은 Sinv로 대표되는 정보 엔트로피의 흐름을 보존하기 위한 게이지-기하적 반응이다.

이는 Jacobson의 “Einstein 방정식 = 열역학 제1법칙” 가설, Verlinde의 entropic gravity, AdS/CFT의 bulk–boundary entanglement duality 와 유사.
IG-RUEQFT는 이러한 접근에 게이지 불변성과 재규격화 가능성을 결합하여 더 정밀한 틀을 제시.


🔷 2. IG-RUEQFT 관점에서 보는 ‘힘의 분리’ 시간표

시점에너지 스케일 (GeV)시간 (초)현상G-RUEQFT 해석
플랑크 시대∼1019∼10−43중력 ↔ 나머지 힘 통일?정보 흐름 = 중력장으로 표현되던 시기
GUT 시대∼1015∼16∼10−36강력 ↔ 전기약 분리정보 흐름이 SU(5) 등에서 색 흐름으로 구분되기 시작
전기약 분리∼102∼10−12SU(2)×U(1) → U(1)EMSinv값이 급격히 변하며 질량 발생 (힉스 or 엔트로피 기원)
쿼크-글루온 분리∼ 200 MeV∼10−6QCD 격자화, 하드론화엔트로피 흐름이 confined geometry를 만듦
우주 마이크로파 형성∼eV∼ 380,000 년CMB 방출정보 흐름의 대규모 decoupling 시점 (비가역적 흐름)

🔷 3. 정리: IG-RUEQFT가 제안하는 통일의 그림

  • 초기 우주는 Sinv = 정보량이 균일한 상태였으며,
  • 정보 흐름이 국소화되면서 게이지장이 생기고,
  • 정보 흐름의 위상 자유도 → Λμ 정보 게이지장
  • 곡률로 응답하면서 중력장(=기하학) 이 창발(emergent)
  • 특정 정보 흐름 축소 과정이 질량·힘 분리로 이어짐

🔷 IG-RUEQFT 이론에서 “힘이 분리되었다”는 의미는?

각각의 힘이 독립적인 gauge degree of freedom 으로 분리되었다는 것 =
정보 흐름 JSμ 다양한 공간적 방향(gauge 공간) 으로 분기되기 시작했다는 의미.

즉,

  • SU(3): 색 정보 흐름 분기
  • SU(2): flavor 정보 흐름 분기
  • U(1): 전하 정보 흐름 분기
  • U(1)Λ: 엔트로피 위상 흐름 분기
  • 기하학적 배경 응답 → 중력
IG-RUEQFT로 본 힘의 분화 개념도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